□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 변경
- 서강대는 그동안 국어 1.1배, 수학 1.5배, 탐구 0.6배를 가중치로 적용하던 것에서 수학을 1.4배로 변경하면서 영역별 반영비율이 국어 35.5%, 수학 45.2%, 탐구 19.3%로 바뀌었다. 수학 가형 응시자의 경우 수학영역에 대해 표준점수의 10%를 가산해 반영하는 것은 그대로 유지했다.
인문계열의 경우 국어: 수학(나형): 영어: 탐구 의 비율이 30%: 25%: 20%: 25%로 바뀌었다.
자연계열의 경우 국어: 수학(가형): 영어: 탐구 의 비율이 25%: 30%: 20%: 25%로 변경했다.
전체적으로 영어의 비중을 낮추고 인문계열은 국어, 자연계열은 수학의 비중을 높였다.
한국외대는 인문계열에서 국어의 비중을 소폭 낮추고 영어 반영 비율을 올렸다. 이로인해 국어: 수학(나): 영어: 탐구 비율이 30%: 30%: 20%: 20% 이고 자연계열 반영비율은 전년도와 동일한 국어: 수학(가): 영어: 탐구 비율이 20%: 35%: 15%: 30% 이다.
홍익대의 경우 인문계열 반영 비율은 국어: 수학(나): 영어: 탐구 는 30%: 30%: 15%: 25% 로 영어 비중을 낮추고 국어와 수학의 비중을 높였다. 자연계열의 경우는 국어: 수학(가): 영어: 탐구 가 20%: 35%: 15%: 30% 이다. 이를 보면 비중이 수학>과탐>국어>영어로 변경됐다.
□ 원점수 합 같은 학생 A,B 의 다른 결말
- 원점수 합이 동일한 가상의 두 학생을 예로 보면 대학별 환산점수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.
두 학생은 원점수 총합은 같지만 영역별 점수는 차이를 보인다. 따라서 두 학생의 입시결과도 차이를 보일 수 밖에 없다. 대학마다 반영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, 거기다 대학은 이 원점수를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표준점수, 백분위, 등급점수를 각기 달리 활용해서 성적을 산출한다.
영역별 반영비율에 따라 두 학생의 실제 환산점수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비교해 보자.
(가) 대학은 수학영역 반영비율이 40%로 높고 (나)대학은 모든 영역을 25% 동일 비율로 적용하고 있다. 수학영역과 탐구영역 성적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A는 국어 비율이 낮고 수학, 탐구 비율이 높은 가대학이 유리할 것이도, 동일반영비율을 적용하는 나대학은 상대적으로 국어 성적이 좋은 학생B에게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.
이 두 대학 모두 표준점수를 반영해서 성적을 산출했는데, 상대적으로 학생A에게 유리한 백분위를 반영하는 대학을 지원한다면 학생A에게 더욱 유리할 수 있다. 즉 학생A에게는 수학영역과 탐구영역 반영 비율이 높으면서 백분위를 활용하는 대학의 지원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은 전략이 될 것이다.
이처럼 자신이 상대적으로 강점이 있는 영역의 점수 반영을 많이 하는 대학들을 살펴보고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점수를 줄 수 있는 최선의 대학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가.
'입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학별 취업률과 대학원 진학률 (0) | 2020.11.23 |
---|---|
2022 대입- 고1.고2 입시 (0) | 2020.11.13 |
2021년 올해 수시면접 시사이슈? (0) | 2020.10.16 |
올해 수능 결시율 최고치 경신? (0) | 2020.10.05 |
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가채점 결과로 본 주요대학 지원가능 점수 (0) | 2020.10.05 |